본문 바로가기

사건과 신학 3기/영화「서울의 봄」

(3)
[2024년 1월의 주제 소개글] 영화「서울의 봄」 이진경(NCCK 신학위원, 협성대 교수) 작년 말에 개봉해 현재까지 무려 1,300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동원한 영화 「서울의 봄」은 사회적으로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기록적인 흥행열풍 이외에 놀라운 사실은 대한민국의 2,30대가 이 영화의 주요 소비지라는 사실이었다. 1979년, 그러니까 거의 45년 전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반란 당시에 태어나지도 않은 2,30대가 영화 속 사건에 분노한다. 기이하기까지 한 이 사회적 현상은 아마도 그때의 기시감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뜻이기도 할 것이다. 이에 은 영화 「서울의 봄」에 대한 2편의 감상문을 통해 영화와 영화가 다루고 있는 사건이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제공하고 있는지 성찰해 보고자 했다. 특별히 이번 감상문을 위해서는 12·12 군사 반란..
봄 길목에 도사린 한파를 넘어 / 이훈삼 이훈삼 (NCCK 신학위원회 부위원장, 주민교회) 40여 년 전, 이 땅을 뜨겁게 달구었던 민주화의 열기와 그 갈망을 차갑게 군홧발로 짓밟은 쓰라린 이야기가 스크린을 통해 우리 앞에 나타났다. 5.16 군사반란 이후 우리는 20년에 가까운 시간을 박정희 군부 독재 아래서 신음하였다. 권력은 오래되면 썩기 마련이지만 그 썩음은 단순한 부패에 그치지 않고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잔인한 고통으로 다가온다. 박정희 군부 정권의 영구집권을 위한 유신헌법이 1972년 통과됨으로써 민주주의는 다시 일어설 기력을 상실하고 있었다. 그런데 정말 생각할 수도 없는 사건이 실제로 일어났다. 독재 권력의 오른팔인 중앙정보부장이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를 사살한 것이다. 최고위 권력 내부 암투의 결과로 우리는 뜻..
이긴 자들이 판치는 세상 / 남기평 남기평 (NCCK 화해통일위원회 간사) “그 이왕이면 혁명이라는 멋진 단어를 쓰십쇼!” 2시간 20분 보는 내내 지겨웠다. 그리고 재미가 없었다. 그리고 불편했다. 당장이라도 영화관을 뛰쳐나가고 싶었다. 왜 에 열광하고, 2030대가 재차, 삼차 관람하는 이유를 당최 잘 모르겠다. 왜 그렇게 불편했는지, 굳이 이유를 따져보면, 영화의 런닝타임 내내, 그 결말을 아는 게 힘들었는지, 아니면 내가 사는 지구의 현실과 지극히도 닮아 있어서 그런지, 또 아니면 45년이 지난 2024년인 현재도 ‘이왕이면 혁명’세력들의 계승자들이 변하지 않고 이 놈의 정치판을 흔들고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이유 아닌 이유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에서 1212 군사 반란은 어설펐다. 슬프게도, 어설픈 세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