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과 신학 3기/NCCK 100주년을 맞이하며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년 9월의 주제 소개글] NCCK 100주년을 맞이하며 -우리는 왜 이 주제를 선택했는가?- / 오세조 오세조(NCCK 신학위원장, 팔복루터교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헌장 전문에는 교회협을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1924년 이래 한국의 그리스도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일치 협력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드높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널리 전하며, 성령의 인도 아래, 하나님나라를 선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 하나님의 생명, 정의, 평화를 이루기 위해 모이고 힘쓰는 하나님의 선교 기관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널리 전파되어 이 땅에 사랑과 정의에 기초한 평화, 곧 그리스도의 평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선교 사명으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일을 위해 대립과 차별을 해소하며 남북화해와 평화통일에 힘쓰고 인권을 증진하며 이웃사랑을 실천하되 우선적으로 가.. NCCK 백주년을 맞이하며 -백주년을 맞이하여 한 번쯤은 함께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것들- / 이인배 이인배 (NCCK 100주년 위원회 연구원) # 사건은 신학을 통해 의미를 가진다 어떠한 사건이 존재하는 경우 그냥 잊혀져 버리는 사건이냐, 아니면 그것이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기억되면서 지속적으로 회자가 되어서 살아있는 역사가 되느냐는 그 사건을 기록으로 남기는 사람에게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 기록의 작업을 우리는 거창하게 ‘신학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처음 『사건과 신학』이라는 잡지를 소개받았을 때 머리속에 떠오른 생각이다. 시적인 표현으로 본다면 단순한 몸부림으로 끝날 수 있었던 것을 ‘내가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신학화 작업을 했을 때) 그것이 나에게 의미 있는 것(꽃)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가는 사건이 의미 있는 것이 되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그것이 나에게만.. ‘100인 합창단 프로젝트 – 비하인드 스토리’ / 최규희 최규희 목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간사)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이하 교회협) 창립 100주년을 맞았다. 몇 년 전부터 2024년 9월을 기다려왔던 나로서는 어떤 마음으로 어떤 모습으로 이 시기를 보낼지 잘 그려지지 않았었다. ‘공교회의 100년 역사’라는 가늠할 수 없는 세월의 무게를 그 끝자락 한 부분을 살아가고 있는 한 목회자가, 또는 실무자가 어찌 헤아릴 수 있을까. 누구 말마따나 “글로 배웠어요”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으니 “잘 모르지만.. 열심히 배울게요”라고 말하며 그저 역사 앞에 겸손해질 뿐이다. 소위 어느 단체, 어느 공동체건 ‘~ 주년’을 기념하며 가장 좋은 점은 그간의 역사를 정리하고 돌아보는 시간을 공식적으로 가질 수 있다는 점 같다. 시대적 부름 앞에 응답하며 달리느라 미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