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사건 · 이달의 신학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인류의 뉴노멀은 지구의 새로운 균형감각을 좇아갈 수 있을까? / 신익상
신익상(성공회대학교, 한국교회환경연구소) 2004년도에 경제 분야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new normal’이라는 용어가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사회 문화적 변곡점을 뜻하는 말로 확장되었다. 뉴노멀, 보통 ‘새로운 표준’이라고 번역되는 이 말은 이전과 이후 사이의 되돌릴 수 없는 변화를 전제하는 말이다. 지금 이러한 변화가 사회, 정치, 경제, 문화를 비롯한 인류 문명들의 전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 ‘전 세..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지금 할 일이 있다면? 생각일 뿐. / 김조년
김조년(한남대 명예교수, 퀘이커) 모두가 다 지금이 살기가 어렵고 미래가 불안하다고 말한다. 전망할 수가 없다고 말한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의 경로와 방향 그리고 기한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고, 아직까지 백신이 나오지 않아서 모두 불안해한다. 인간의 모든 삶, 정치, 경제, 산업, 교육, 종교, 군사, 언론 등 모든 분야에서 이제까지 이렇게 하면 된다는 것들이 혼란스럽게 질서를 잡지 못하고 있다..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뉴노멀의 시대를 거슬러 올라갔던 사도 바울 / 한수현
한수현(감리교신학대학교) 코로나가 한참인 시절, 10시가 넘으면 유령도시로 변하는 서울의 한 개봉관에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테넷(TENET)을 보았다. 저녁 9시에 시작하는 극장엔 나를 포함 단 3명의 사람만이 앉아있었다. 테넷은 베트맨 시리즈로 유명한 놀란 감독이 20년 동안 조금씩 완성한 각본으로 감독한 영화인데 시간여행을 중심으로 다루는, 과거를 변화시켜 현재와 미래를 바꾸는 류의 줄거리이다. 영화를 보면..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고립’이냐 ‘연대’냐 길목에서 선택하기 / 박흥순
박흥순(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장) 코로나19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에 가져 온 도전과 변화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에 직면하면서 혼선과 시행착오가 계속 있었다. 이제는 이전에 정상이라고 여겼던 생활 습관이나 사고방식을 교정하거나 전환해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 모든 영역에 가득 찼다. 그럼에도 코로나19가 던지는 도전과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거나 분석하지 못한 채..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코로나19 이후 종교의 역할 / 하성웅
하성웅(한국기독청년협의회 총무) 코로나19 이후에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는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진단하듯, 분명한 것은 코로나 이전의 세계는 다시 오지 않으리라는 것입니다. 인류는 이전과는 분명한 다른 세계를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이미 우리는 일상의 많은 변화를 목격하고 있습니다. 마스크 없는 일상생활은 상상하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비대면 온라인을 활용한 업무, 재택근무가 사..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대면하고 새로워지는 뉴노멀 신앙 / 강세희
강세희 (한국기독교장로회 한백교회, 옥바라지선교센터) 2020년 10월 11일, 팬데믹 선언 이후 7개월 만에 한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다시 1단계로 격하했다. 나는 지난 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주일성수에 대한 나의 생각과 교회의 실천에 물음표를 띄웠었다. 일상과 활동의 제약이 익숙해질 즈음 이 물음은 잠잠히 의식 아래로 가라앉는 듯했다. 그러다가 다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고, 이로 인..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뉴노멀 시대, 사랑으로 서로를 포용할 때 / 김한나
김한나(성공회대학교)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겸손하게 네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니냐.”(미가6:8) 코로나로 인한 격변의 시대, 교회를 향하신 하느님의 뜻과 사랑을 기억하고 우리의 과오를 회개하며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기를 소망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적는다. 현재 한국 교회는 심각한 양극화 현상으로 그 생명을 잃어가고 있다. 교회는 내적 혹은 외적 편향성을 추..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머리글]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에서
Covid19로 인한 재난 상황을 반년 넘게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상황이 호전되기 보다는 제2 제3의 확산이 계속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언제까지 이런 상황이 계속될지 아무도 정확한 예측을 내 놓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정치와 언론은 연말이나 내년쯤이면 백신이 나올 것이고, 그러면 다시 과거의 자연스러운 삶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전파합니다. 하지만 코로나 19 이후의 삶은 결코 코로나 이전의..
-
뉴노멀;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뉴노멀의 3가지 열쇠말: 단순성, 연대성, 우주적 영성 / 김경재
김경재 (한신대 은퇴교수) 코로나 이후 개인적 사회적 삶이 어떤 형식으로 변화할까 궁금증 혹은 절박한 관심으로 인해 ‘뉴노멀’ 담론이 많아진다. 그런데 어쩐지 나는 ‘뉴노멀’이라는 단어자체부터 거부감을 갖는다. 왜냐하면 노멀(normal)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가 “표준적인, 전형적인, 정규적”이라는 뜻이 본래 의미이고, 그 본래 뜻이 일상 언어생활에서 느슨해져서 “보통의, 통상적인, 정상적”인 이라는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