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망

(2)
그럼에도, 저 깊은 곳에는 / 송진순 송진순 (NCCK 신학위원) 20대 대선이 끝났다. 승자도 패자도 없는 초박빙 승부에 모두가 깊은 내상을 입었다. 선거 이후 만나는 사람들도 선뜻 말하기를 꺼렸다. 실은 말 이전에 어떤 감정을 쏟아야 하는지 망설이는 듯했다. 이 상황에 대한 날 선 비판이나 섣부른 자성이 아니라 상황을 수용할만한 마음이 있어야 했다. 그런데 마음 둘 자리조차 잃었다. 얼마 전 한 시사평론가는 “2012년 대선과 지금은 다르다. 그때는 좌절이었지만, 지금은 위로가 필요하다”고 한탄했다. 그때는 박정희 레거시라는 큰 벽에 부딪히면서 좌절했지만 결과는 수용했다. 그런데 지금은 우리 정치와 공동체의 바닥을 보며 전의를 상실했다는 것이다. 20대 대선은 유세 과정에서부터 실망스러웠다. 아니 마지막까지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여당은 ..
청년의 우울은 개인의 감정문제가 아니다. / 장재열 장재열(청춘상담소 좀 놀아본 언니들 대표) 며칠 전, 오랜 벗인 수녀님께 메시지가 왔습니다. “재열군, 내 고민 좀 들어 줄래요? 청년들이 찾아와서 나한테 고민을 말하는데 무어라 해줘야 할지 예전보다 나날이 어렵네요. 내가 나이가 들어서일까?” 올해만 벌써 여섯 번째입니다. 뭐가 여섯 번째냐고요? 이런 질문을 수녀님, 신부님, 목사님, 스님까지 다양한 종교 지도자분들께 받은 게 말입니다. 이럴 때, 저는 뭐라고 답할까요? “맞아요. 나이드셔서 그래요. 세대차이죠. 뭐. 하하하” 이렇게 답할까요? 아닙니다. 이렇게 답했습니다. “수녀님, 저도 그렇더라고요. 예전이랑은 뭔가 확실히 다르죠?” 청년들의 마음 건강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기에, ‘뭔가 다르다’고 한 걸까요? 실제로 처음 우리 단체가 설립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