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5)
‘Z세대’에도 끝나지 않는 학교폭력 / 김한나 김한나(성공회대학교) 최근 포털사이트 메인화면에 게시되는 과거 학교폭력에 관한 보도는 현재 우리 사회에 만연한 폭력문화가 결코 신생문화가 아니라는 것을 고발하고 있다. 폭력의 형태가 변화되고 그 범위가 확장됐을 뿐, 폭력의 근원은 ‘카인과 아벨’의 사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네 아우의 피가 땅에서 나에게 울부짖고 있다”(창4:11). 성폭력 고발에서 시작된 미투(#Me Too) 운동은 이제 학교폭력을 고발하는 학폭 미투로 확대되어 각자가 묻어 두었던 폭력의 기억들을 소환하고 있다.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
학교폭력, 공동체 회복의 과정으로 : Changing Lenses / 황필규 황필규 (NCCK인권센터, 회복적정의협회) 여자프로 배구 팀 소속 쌍둥이 자매가 10여년 전 초·중·고등학교 시절 함께 운동한 동료에게 가한 학교폭력 사실이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알려졌고, 이것이 언론을 통해 재확산되며 일파만파 되었다. 가해 당사자로 지목된 선수들은 현재 무기한 출전 정지와 함께 퇴출 위기에 처해 있다. 뿐만 아니라 아이돌 그룹 멤버를 비롯한 연예인들도 학창 시절에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어쩌면 기성세대의 시각으로 보면, 한창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특히 예체능계에서 관행처럼 여겨지기도 했고, 당사자 주변인들 또한 학교 폭력에 그렇게 예민치 못했다고 할 수 도 있겠다. 그러나 오늘날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은 10년 전부터 피해자들의 자살이 ..
학교폭력, 이라는 거울 / 송진순 송진순(새길 기독사회문화원) 최근 연예계와 스포츠계에서 학폭 미투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학교폭력이야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라떼 이즈 호올스” 수사를 빌어 말하면, 90년대에도 소위 노는 애들, 무서운 언니들은 학교마다 있었다. 하지만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한 이들과 한 교실에서 공존이 가능했다. 그들은 가끔 출가하여 세속의 도를 닦고 돌아오고, 교복 치마를 타이트하게 리폼하고, 푸석한 탈색 머리로 헤드뱅잉하며 졸아도, 숙제 검사하는 선생님 앞에서 멋쩍어하고, 누군가에게 폐를 끼치면 미안해 할 줄 알았다. 껌을 씹으며 비속어를 밥 먹듯 날리고, 서열쟁탈의 난투가 벌어져도, 소풍과 수련회에서는 확실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다같이 행복해했다. 문제아라는 낙인에 상처받은 그들은 남들보다 일찍 세상 고뇌..
착한 말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김자은 김자은(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삶의 자리와 교회의 분리만큼, 청소년들에게 학교는 교회와 분리되어 있을 것이다. 나 또한 학교폭력의 문제를 교회나 기독교 신앙과 연결지어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선뜻 생각을 정리하고 글을 쓰기 어려웠다. 연예인, 스포츠 스타들의 ‘학폭’ 사건을 통해 볼 수 있듯 학교폭력은 이미 큰 사회적 문제이다. 그러나 학교폭력이 이렇게 큰 사회적 문제로 번지게 되는 수년의 시간 동안 교회는 학교폭력에 대해, 청소년들의 삶에 대해 제대로 말해오지 않았다. 물론 교계 소수의 노고로 회복적 교육, 용서, 화해, 비폭력, 평화로운 갈등조정 등 많은 분야가 연구되고 현실에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학교폭력’이라는 거대하고 일상적인 폭력 상황과 청소년 사이의 권력 관계 및 정치적 역..
학교폭력 ; 말해지기 어려운 이야기 “학교폭력” 유명인들의 학창시절 폭력이 폭로된 것을 계기로 잠잠했던 수면 위로 다시 올라온 학교폭력의 문제는 우리 사회에 여러 가지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어디에도 명확한 대답은 없다. 그만큼 어려운 문제인 것이다. 우리 사건과 신학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3월, 학교폭력 사건이 온 사회에 떠들썩할 때 사건과 신학으로 다루기 위하여 주제로 삼았지만 접근하기에 조심스러운 일일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제야 겨우 말해지기 어려운 진실에 대하여 말하려고 한다. 우리는 오랫동안 학교폭력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꺼려했다. 그야말로 학창시절, 철부지들이 저지른 일을 문제삼아 뭐하겠냐는 시각에서부터, 행여나 앞으로 살아갈 날들이 창창한 아이들의 앞길을 막는 일이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시각까지, 그러니 조용히 좋게 ..
빌 게이츠가 땅을 산 이유 / 유승리 유승리 (미국연합감리교회 목사) - Greatplains Annaual Conference/ Provisional Elder 며칠 전 옥수수 농사를 짓는 교인과 대화를 할 일이 있었다. 네브래스카 넓은 평야에서, 대대손손 농사를 하는 마음씨 좋은 교인이 최근에 빌 게이츠가 농지를 샀다고 말했다. 내가 사는 곳으로부터 차로 한 두 시간만 가면 도착할 수 있는 거리에 빌 게이츠의 땅이 있다. 약 20,000에이커 정도 되는 엄청난 크기의 땅이다. 1 에이커가 대략 1,224평이니, 약 2400만 평 정도 되겠다. 숫자가 방대해지면 감이 안 오는 경향이 있으니 이렇게 생각해보자. 여의도 면적이 250만 평이다. 빌 게이츠가 최근에 산 땅은 여의도의 열 배쯤 된다. IT 업에 종사하며, 지금은 일론 머스크에게 ..
이미, 위기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 텍사스 한파로 돌아본 기후위기 현상 / 이진형 이진형 목사(기독교환경운동연대) 지난 2021년 2월, 북극권에서 발생한 강력한 고기압으로 인해 북미지역 전역에 폭설과 한파가 몰아닥쳤다. 이 폭설과 한파로 인해 미국 전역에서 6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전기, 수도 등 기간시설의 가동중단으로 인한 엄청난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는 미국 남부 앨라배마, 오클라호마, 캔자스, 켄터키, 미시시피, 텍사스 주의 ‘선벨트(Sun-Belt)’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겨울 기온이 아무리 추워야 5~10°C 사이였던 선벨트 지역의 가구들은 대부분 난방설비가 갖춰져 있지 않았고, 사람들은 변변한 겨울옷조차 마련해두지 않은 상태였다. 그런데 이 지역의 기온이 영하 20도로 떨어져 미국 알래스카 지역의 온도보다 낮아지는 역대급 기상현상이 발생한 것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