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건과 신학 2기/‘미나리’를 보았다.

여러분, 적당히 합시다. / 손승호

 

손승호(명지대학교 객원교수)

 

나는 한인 이민자들에 대한 편견이 있다. 그들은 나보다 계층사다리의 훨씬 높은 단에 있는 사람들이다. 솔직히 말해 나는 그들을 질투한다. 5년 전 쯤 더 이상 한국에서의 삶을 버틸 자신이 없어져버렸던 나는 코엑스에서 열린 이민박람회에 갔다. 4시간 정도 머물면서 6번의 상담을 받아본 결과, 이민도 돈 있는 사람들이나 갈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씁쓸히 코엑스를 나서며 부인님께 했던 말이 기억난다. “가난이 꼭 나쁜 건 아니네요. 우리를 인종차별로부터 보호해 주잖아요?”

 

그러다보니 이민자의 삶을 다루었다는 ‘미나리’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보겠다는 생각도 없었다. 편견으로 똘똘 뭉친 내가 이민 갈 능력이 있는 사람들의 하소연까지 들어줄 필요는 없었다. 그러나 참여하고 있는 한 모임에서 미나리를 보고 이야기를 나누자는 제안을 받았고 내키지 않아 미루다 모임 하루 전 억지로 영화를 보았다. 그러니까 미나리라는 영화를 대했던 나의 마음은 심하게 꼬여 있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미리 밝혀둔다.

 


영화를 보기 전에 이해에 도움이 될까 하여 몇 개의 기사를 찾아보았다. 결과적으로 그 기사들을 읽은 것은 큰 패착이었다. 미국 자본으로 미국인 감독이 만든 아메리카드림에 관한 영화의 미국영화제 수상이 한국영화의 쾌거라고 나팔을 부는 언론들의 국뽕은 이미 익숙한 일이었기에 속지 않았지만(그런데 이 국뽕은 한국뽕인지 미국뽕인지 모르겠다.) ‘미나리’가 무슨 기독교 영화인양 떠들어대는 교계 기사들을 보고서는 그만 속아버렸던 것이다. 기사들 덕분에 나는 영화가 끝날 때까지 미국에 이민 간 한인의 ‘천로역정’을 보는 줄 알고 있었고, 엔딩 크레딧을 보며 배신감에 치를 떨어야 했다. ‘뭐야, 홀랑 태워 먹고 끝인가?’


나를 가장 오해하게 만든 기사는 시점으로 한국개봉 전의 기사인 국민일보의 [영화 ‘미나리’에 담긴 기독교적 가치 4가지] [각주:1]이었다. 이 기사는 미국 언론 ‘크로스워크’와 ‘크리스천헤드라인’의 보도를 정리한 것이다.(여기에서 우리는 국뽕에는 국경이라도 있으나 종교뽕에는 그마저도 없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겠다.) 기사가 말하는 기독교적 가치 4가지는 ‘1) 실화를 배경으로 하는 것, 2) 기독교 신앙을 묘사하는 것, 3) 강도 높은 노동에 주목하며 희망을 말하는 것, 4) 우리의 쓸 것을 채우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가르치는 것’이다. 내가 영적으로 너무 둔감한 것일지는 모르겠으나 이 영화를 어떻게 해석하면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일단 실화를 배경으로 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왜 기독교적 가치인지 모르겠다. 세 번째 항목인 노동을 통한 희망도 마찬가지다. 강도 높은 육체노동이 굳이 기독교적 가치라고 할 만한 것이었던가? 게다가 제이콥(스티븐 연 분)이 힘든 노동을 마다하지 않고 열심히 사는 것은 맞지만 그가 애를 쓰면 쓸수록 가족의 한 축이 무너져 가는 것을 나만 본 것인가? 심지어 마지막 항목인 ‘우리의 쓸 것을 채우시는 하나님의 섭리’는 영화의 후반부 장면에서 헛간에 쌓인 농산물과 함께 번제로 드려진 것 같다.


가장 곤란한 해석은 두 번째 항목이다. 기독교신앙은 분명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 하지만 이 묘사들을 핑크빛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것은 곤란하다. 기사는 아칸소의 미국인 교회가 아시안 가족을 ‘환영’한 것에 매우 고무된 것 같은데, 모니카(한예린 분)는 교회에서 돌아오는 길에 ‘다시 가지 말자’고 말하고 그런 그에게 제이콥은 ‘그럴 거면 헌금은 왜 그렇게 많이 했냐’며 핀잔을 준다. 모니카는 왜 여기는 아니라고 생각했을까? 이 가족들이 받은 것이 정말 환영으로 보인다면 그건 당신이 백인이거나 차별의 일상화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일 거다. 백인 미국인에게는 절대 묻지 않는 ‘당신은 본국은 어디인가’를 아시아계 미국인에게는 첫 만남에서부터 당연한 듯 묻는 것이 차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저 장면 어디가 차별적인지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기사대로 “아칸소 시골교회와 신자들은 나름대로 그리스도의 사랑을 표현”한 것일지도 모르겠으나 자신을 성찰하지도 상대를 제대로 배려하지 않고 자기들 좋을 대로 표현하는 사랑이란 얼마나 무신경하고 무례한 것인가.


나를 짜증나게 한 것은 이 기사 내용이 원문[각주:2]의 번역과정에서 교모하게 종교뽕의 순도를 높였다는 것과, 미국인이 미국 영화를 보고 평가한 것이 그대로 권위 있는 완전한 해석인양 한국에 소개되었다는 것, 그리고 또 다시 이를 그대로 이용해 기사와 유튜브 영상을 만들어대는 이들이 제법 많다는 것이었다. 그 덕에 이것들을 먼저 보고 영화를 본 나는 언론에 대한 불신이 더 깊어졌다.(내게 유튜브는 신뢰와 불신의 대상도 아니다. 어떤 분들은 지나치게 신뢰하시는 것 같지만.)



개봉 이후의 일은 점입가경이다. 필름포럼이 운영하는 채널 ‘시네마브런치’는 미나리에 대한 영상의 제목을 ‘“미나리” 주인공 이름부터 야곱이잖아요!’로 뽑았다.[각주:3] 어쩌란 말인가. 정작 미국 언론에서는 주인공들의 이름은 전혀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다. 그쪽 이름이 원래 그렇기 때문이다. 차곡차곡 쌓인 기독교 만세 분위기에 따라 유튜브에서는 힘든 노동을 마치고 돌아온 제이콥이 팔이 아파서 자기 머리를 못 감자 모니카가 감겨주는 것이 세례의식을 상징한다는 해석까지 나왔다. [각주:4] 인간에게 창의성을 주신 주님께 감사기도를 드리자.



그런데 여기에 다른 차원의 뽕도 등장한다. 미나리가 반기독교 영화라고 주장하는 일각의 목소리가 그것이다. 미주 크리스챤 투데이는 “영화 미나리 반기독교적 메시지에 대한 유감”이라는 기사를 올렸다. [각주:5] 이 기사는 ‘이 영화는 반기독교적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 처음부터 의도된, 기획의 산물’이라고 단언하고 있다.(자세한 내용은 독자의 정신건강을 위해 소개하지 않겠다.) 뭐 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이야기하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의 자유이기에 즐겁게 누리시길 바란다. 그래도 굳이 주변의 실소를 불러일으킬 필요는 없지 않나 싶다.


이쯤되면 궁금해진다. 왜 이러는 걸까? 기독교와 연결될 수 있는 부분만 있으면 어떻게든 과대해석을 통해 기독교적인 무엇으로 만들고 싶어 안달이 난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기독교가 조금이라도 부정적으로 표현되는 게 있으면 바로 반기독교, 사탄의 술수 등으로 폄하하는 사람들이 있다. 한 길 사람 속을 살필 혜안이 없기에 이 사람들을 이해하기 어렵지만 양쪽 모두에게서 나는 요즘 많은 기독교인이 공유하고 있는 불안을 느낀다. 다만 불안에 대한 대응이 ‘우쭈쭈’와 ‘으르렁’으로 나뉠 뿐이다. 육조 혜능은 바람에 흔들리는 깃발을 두고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 너희의 마음이 흔들리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개인적으로 미나리는 기독교적 영화도 반기독교적 영화도 아니다. 그저 인간의 종교성과 이주민의 삶을 담담히 다룬 영화일 뿐이다. 그래서 말인데... 여러분, 적당히 합시다.

 

  1. 국민일보, “영화 ‘미나리’에 담긴 기독교적 가치 4가지,”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587851&code=61221111&cp=nv, 2021.6.27. 접속 [본문으로]
  2. Crosswalk.com, “4 Things to Know about Minari, the Faith-Centric Film That's Winning Awards,”
    https://www.crosswalk.com/culture/features/things-to-know-about-minari-the-faith-centric-film-thats-winning-awards.html, 2021.6.27. 접속 [본문으로]
  3. https://www.youtube.com/watch?v=e2dwAxtVrTs&t=257s, 2021.6.27. 접속. [본문으로]
  4. https://www.youtube.com/watch?v=iey0tsV5kd4&t=251s, 2021.6.27. 접속. [본문으로]
  5. 크리스챤 투데이, “영화 미나리 반기독교적 메시지에 대한 유감,” http://www.christiantoday.us/27054, 2021.6.27. 접속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