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별

(5)
이‘놈’의 대선: ‘남혐’ 상상하기 / 김정원 김정원 목사 (향린교회, 성공회대 박사과정) 근래 “너- 남혐있어?”라는 물음을 종종 듣곤 하는데, 그 물음에 답하기 전 그 사람의 저의를 예상해본다. 이자가 나에게 묻고 있는 것은 ‘너 페미니스트야?’, 혹은 ‘너 설마 심상정 찍을꺼야?’, 그것도 아니라면, ‘너 목사가 돼가지고 세상의 반을 혐오하는 거야?’, 마지막으로는 ‘싸우자’ 정도. 대개 그들의 저의는 나의 예상 중 하나 이상에 부합한다. 저런 물음은 보통 혐오에 대한 이해가 일천한 데서 온다. 혐오란 대등한 관계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아니 발생될 수가 없다. 흑인이 백인을 증오할 수는 있어도 혐오할 수 없고, 비장애인의 배제에 장애인이 분노할 수는 있어도 혐오할 수는 없다. 다수의 이성애자 앞에서 소수의 동성애자가 위축될 수는 있으나 혐오할 ..
“나는, 우리는, 당신들의 토큰이 아닙니다.” “나는, 우리는, 당신들의 토큰이 아닙니다.” 2021년의 마지막 사건과 신학을 위해 여러 시간 논의를 거듭했습니다. 결국 조동연 그를 둘러싸고 일어났던 일들을 다루기로 결정했을 때, 우리는 이것이 조동연 그 만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만의 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조용히 묻히고, 동시에 또 다른 곳에서 또 다른 모습으로 다시 일어나는, 계속해서 반복되는 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사회 정치의 한계이기도 하며 지독한 성차별의 문제이기도 한, 동시에 도덕주의로 치장한 우리 사회 뒷면의 관음증을 여실히 증명한 일이며 그것을 자양분 삼아 자라온 저속한 저널리즘의 문제이기도 한 이 문제를 한 개인에게 짊어지우고 아무 일도 없었던 양 그렇게 지나가버려서는 안된다고..
나와 그들 사이의 보이지 않는 경계선 / 이혜영 이혜영 (미국장로교(PCUSA) 파송 선교동역자, 여신학자협의회) 나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는 건축된 지 4년정도 되는 신축 아파트인데 앞에 공원이 있다는 이유로 4년 전에 이 아파트로 이사를 왔다. 처음 이 아파트에 입주했을 때는 주위가 개발이 되지 않은 황량한 곳이었지만, 4년이 지난 지금은 주변에 높은 아파트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불과 4년만의 일이다. 최근 우리 아파트 바로 옆에 이름난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섰다. 그 아파트 입주를 앞두고 입주민들 사이에서 일어난 황당한 논쟁에 대해서 듣게 되었는데 그 내막은 이러하다. 그 아파트의 초등학생들이 들어갈 학교를 배정하는데 길을 건너면 바로 있는 초등학교에 배정하지 말고 조금 떨어진 곳이지만 아파트 촌에 사이에 있는 초..
2021년 11월 그리스도인들은 얼마나 남았을까? / 한수현 사도들이 한 자리에 모였을 때에 예수께 여쭈었다. "주님, 주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나라를 되찾아 주실 때가 바로 지금입니까?" 예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때나 시기는 아버지께서 아버지의 권한으로 정하신 것이니, 너희가 알 바가 아니다. 그러나 성령이 너희에게 내리시면, 너희는 능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에서, 그리고 마침내 땅 끝에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될 것이다." (새번역, 사도행전 1:6~7) 사도행전은 누가복음에 연결되는 누가공동체 저작의 두번째 작품이다. 그래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묶어 누가-행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누가-행전을 쓴 사람들은 2세기초 로마지역에 살았던 공동체로 나사렛 예수의 이야기에서 시작하여 로마에 예수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지기까지를 역사라는 틀을 빌어 ..
무지(無知)를 두려움으로 가열하면 / 박흥순 박흥순(다문화평화교육연구소) 초등학교(당시는 국민학교)를 다닐 때 사용했던 크레파스에 ‘살색’이 있었다. ‘살색’이라니! 피부색을 색칠할 수 있도록 다른 색과 구분해 놓았다. 그림을 그리는 학생들은 어김없이 ‘살색’을 선택해서 사람 얼굴이나 손과 발을 색칠했던 기억이 또렷하다. 당시에도 피부색을 빨간색이나 검정색으로 색칠하던 친구들이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누군가가 구분해 놓은 ‘살색’을 주저 없이 사용했고 사용해 왔다. 그렇게 단일민족신화에 갇혀 낯선 사람이나 다른 사람을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잃어버린 것이다. ‘살색’이 하나만 있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럼에도 ‘살색’이 누군가를 차별할 수 있다는 것은 깨닫지 못했다. 결국 2003년 국가인권위원회는 ‘살색’이라는 명칭이 인종과 피부색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