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

(18)
정답-없는-사회 / 하성웅 하성웅(한국기독청년협의회, EYCK) 일전에 글을 기고하면서 자료를 찾던 중에 점증하는 ‘청년고독사’에 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기사는 고독사가 무엇이며, 현재 청년들의 고독사가 늘어나는 상황과 원인에 관한 내용이었다. 고독사란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살다가 아무도 모르게 생을 마감하는 외로운 죽음을 말한다. 주로 고독사는 독거노인이나 중년의 남성들의 일로만 여겨져 왔는데, 최근 들어 20, 30대 청년들의 고독사가 늘어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2017년 63건의 청년고독사 사망사례가 지난해는 100건을 넘기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하니, 심각하게 이 문제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독사의 원인으로 기사는 1인가구의 증가를 지적한다. 20, 30대가 40%를 차지하는..
청년(靑年), 2021년 대한민국에서 청년으로 살아가는 일 언제부터인가 매달 한두번씩 모여 그 달의 주제를 선정하고 누가 글을 쓸것인지, 어떻게 쓸 것 인지를 이야기할 때면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단골주제가 있었다. 눈치가 빠르신 분이라면 제목을 보아하니 무엇인지 알겠다 싶으실 것이다. 바로 ‘청년’이 그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 청년을 이야기하는 수식어들을 열거해보면 그들의 신산한 상황이 한눈에 들어온다. 연애와 출산을 포기한다는 N포세대라는 이름표가 붙더니,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부모세대보다 가난한 세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리고 결국은 영혼까지 끌어내야만 주거를 장만할 수 있는 세대가 청년세대라고 한다. 매달 주제로 거론될 만 하다. 하지만 사건과 신학은 선뜻 청년을 주제로 선택할 수 없었다. 변명처럼 들릴수도 있겠지만 정말로 저런 평가가 청년..
프레임에 갇힌 ‘그 한-남자’의 현상 / 남기평 남기평(데나리온BANK 운영위원) 주력 야당의 30대 중반인 그 한-남자가 당대표에, 그것도 투표를 통해서 당선(?)되었다. ‘나이’만을 봤을 때, ‘연령주의’와 ‘경력주의’가 강한 정치판에서, 그리고 수구정당에서 돌파했다는 것은 놀랄 일이고, 그 도전과 선택에는 박수를 보낸다. 단지, 박수만 보낼 뿐이다. 그 이상의 의미는 그 한-남자에게 미안한 이야기지만, 찾을 수 없다. 그 한-남자가 ‘연령주의’를 극복했다고, ‘경력주의’를 극복했다고 하기에는 과제들이 첩첩산중이다. 박근혜 키즈로서 주목을 받았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도, 그 한-남자에게 기대할 것은 애초에 없었다. 야당은 그 한 남자를 통해서, 하나의 ‘현상’을 만들어 냈다기보다는 ‘이미지 쇄신’만 한 것에 가까워 보인다. 새 인물만 찾는 우리의 정..
청년과 공정과 능력주의가 하나로 묶이는 2021년의 한국 사회에 대해 가나안 신도가 생각하는 기독교의 미래 / 이정한 이정한(감리교신학대학교를 졸업한 가나안성도) 1. 또 ‘포스트’야? 2007년 출간된 『88만 원 세대』로부터 한국 사회에 세대론에 관한 논의가 담론장의 중심으로 진입했다. 경제적 불평등 구조 속에서 20대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세대의 문제로까지 발전하게 됐다. 『88만 원 세대』가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기 위한 접근이었던 반면, 이를 통해 세대론, 혹은 청년 담론이 중심으로 떠오르자 그 담론의 외피를 입은 우파적 양상도 나타났다. 2010년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같은 책들의 출간이 그것이다. 과잉 등록금에 대한 문제, 대학 서열화에 따른 계층 결정 등의 비판에 대한 일종의 반동적 현상이라 말할 수 있다. 앞선 논의가 경제적 구조에 대한 문제 인식이었다면, 뒤이은 현상은 그 구조에 지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