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25)
‘나’부터 존엄의 세계로 나아가야만 비로소 살림의 교육이 가능하다 / 하태욱 하태욱 (신나는학교 교장, 건신대 겸임교수) 연이어 침통한 소식이 들리고 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2년차 새내기 교사가 학부모 민원에 시달리다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였다는 뉴스가 시작이었다. 연이어 장애가 있는 자녀를 키우는 한 유명인이 특수교사를 고소하였다는 소식도 듣게 되었다. 또한 학교에 옛 스승을 찾아가 흉기를 휘두른 사건으로 해당 교사가 중태에 빠져들었다고도 한다. 처음엔 우연에 우연이 겹쳤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요즘 세태를 탓하며 쯧쯧 하는 목소리들도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 아니었다. 첫 시작점이었던 교사의 49재를 훌쩍 지난 오늘까지도 계속해서 교사들의 안타까운 소식이 연이어 들려온다. 이 소식을 듣는 교사들의 마음은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 페이스북에 울분을 토..
서이초교 여교사 죽음에 대한 교회의 애가(哀歌) / 박창현 예수의 여제자 막달라 마리아가 억울하게 죽은 예수의 무덤 앞에서 울어서 경험하게 된 예수의 부활에 대한 환희를 회복하라. 박창현 목사 (NCCK 신학위원, 감신대 선교학 교수) 0. 어떤 종교학자는 “세상 사람들은 하나님이 진짜 계신가?에 관심이 없고, 다만 교인들의 삶 속에서 하나님이 살아 있는가 (보여지는가, 느껴지는가)? 에 관심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말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지는 성경 속의 예수님 말씀으로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니 소금이 만일 그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짜게 하리요. 후에는 아무 쓸데 없어 다만 밖에 버려져 사람에게 밟힐 뿐이니라.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 산 위에 있는 동네가 숨겨지지 못할 것이요. 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에 두지 아니하고 등경..
주택(거주)문제: 왜 우리는 이 주제를 선택했는가? / 오세조 오세조 (NCCK 신학위원장, 팔복루터교회)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의 관심이 남다른 사회적 이슈가 있다면 바로 ‘부동산’이다. 사실 지난 정권의 가장 큰 실패 요인은 ‘부동산’이었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전세 사기라는 큰 사회적 문제가 부상하였고, 피해자들은 아직도 제대로 된 구제를 받지 못한 채 고통 속에 있다. 이처럼 정권이 바뀌어도, 시대가 바뀌어도 한국 사회에서 주택(거주)문제는 늘 뜨거우며, 국민의 관심과 공방의 배경에는 ‘주택(거주)문제’를 오로지 재산의 개념으로 바라보는 관점만 자리 잡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관점은 인간 사회에 너무나도 당연한 또한 정당한 통념이며 상식인가? 요즈음 한국의 기후가 예사롭지 않다. 너무 덥다. 그런데 이런 기후 위..
집은 무엇인가? / 이민희 이민희 목사 (옥바라지선교센터) 소유하는 집 한국 사회에서 주택은 주로 부동산 재산, 평당 가격으로 이해된다. 내 집 마련의 꿈은 주택을 소유하기 위한 장기 계획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집을 장만하기 위해 대출을 받고 이를 착실히 갚아 나가는 삶은 매우 이상적이고 정상적인 삶의 방식으로 추앙되며, 누구나 추구해야 할 정당하고 일반적인 비전처럼 제시된다. 정부마다 내세우는 주택 정책도 명시적이든, 암시적이든 주택 공급과 소유를 주된 내용으로 삼는다. 부동산 가격의 상승기와 하락기 모두, 주거 및 주택 시장의 안정을 위해 주택 공급량을 늘리겠다는 안일한 대책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곤 한다. 현 정부 역시 주요 정책으로, 향후 5년간 270만 호의 주택을 공급할 계획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 2022.8.16). ..
한국사회와 전세사기 / 김판임 김판임 (NCCK신학위원회위원, 한신대학교 대우교수) 들어가는 말 2023년 우연한 기회에 난생처음으로 도봉구에 살아보았다. 공기가 확실히 좋다. 암환자에게 맑은 공기는 매우 중요하다. 암진단을 받은 2021년 이후 맑은 공기를 찾아 강원도나 제주도까지 가지는 못해도 서울에선 북한산 가까운 곳으로 자주 산책을 다녔다. 화계역 한신대학교도 좋고, 경전철로 두 정거장 더 가서 419민주 묘역 쪽에서 크리스찬 아카데미 옆 북한산길도 좋고, 두 정거장 더 가서 우이동 종점에 내려 걸으면 공기가 더 좋다는 것을 확연하게 느낄 수 있다. 나는 아예 수유리나 우이동에 거주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여름방학을 맞이하며 전셋집을 알아보았다. 강남에 비해 강북은 집값이 오르는 일이 드물 뿐만 아니라 올라도 아주 더디 오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환경 주일 / 한석문 한석문 목사 (NCCK 신학위원회 부위원장, 해운대감리교회)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성물질 오염수의 바다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130만 톤 이상의 오염수를 30~40년에 걸쳐 바다로 내보낼 때, 인접 국가인 한국 수산업계의 피해는 불 보듯 뻔하다. 괴담이 아닌 현실임에도 우리나라 정부는 일본 정부나 도쿄 전력에 항의하거나 방류라도 막아보려는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 모두가 인지하고 있듯이 오염수의 바다 방류 말고도 현재 우리에게 닥쳐온 환경적 위협은 하나같이 우리와 자녀의 미래를 삼키고 있다. 공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이 배출되고, 농촌에서는 농약 사용이 매년 10~30% 증가하면서 농약에 중독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인간의 탐욕이 몰고 온 기후 위기와 생물 대멸종은 이미 ..
그런 오염수는 없다. / 신익상 신익상 (NCCK 신학위원, 성공회대) 1. 오염수를 먹었다고? 지난 2023년 6월 30일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국민의 힘 소속 국회의원 두 명이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른바 해수 마시기.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땅에서 바다로 가는 게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바닷물을 마시려면 서해든 동해든 남해든 찾아가도 됐었다. 드넓은 바다를 배경으로 폼나게 마시면 기자들이 멋진 배경으로 사진도 찍어줬을 텐데, 왜 이들은 서울 한복판 수산시장에서 바닷물을 연신 말하며 수조의 물을 마셨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바닷물을 마시는 게 중요했던 게 아니라, 바다에서 나는 먹거리들이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게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 메시지는 이 얘기가 가장 절실한 바다생물 거래 상인들 앞에서 해야 선전효과가 클 거라는 계..